![]() |
대표 인사말
빛을 분리하는 도구로서 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광학적 평면을 2개 이상 가진 투명한 물체로서 적어도 한 쌍의 면은 평행이 아니어야 한다. 그리고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색깔이 나누어지는 분산 현상이 일어나려면 프리즘의 재료가 되는 물질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과 약간 달라야 한다. 따라서 굴절률이 유리와 비슷한 물질이고 투명하면 무엇이든지 프리즘의 재료가 될 수 있다.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켜서 분산시키면 다양한 빛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고, 이런 방법으로 인공적으로 무지개색 띠를 만들 수 있다. 프리즘은 주로 삼각 기둥 형태이지만 용도에 따라 다각기둥이나 다각뿔, 또는 원뿔, 구형의 프리즘도 사용한다. 프리즘의 소재로는 주로 광학적 유리를 쓰는데, 자외선·적외선에 대해서는 유리 대신 수정·암염(岩鹽) 등을 쓴다. 기능상 분광프리즘·전반사프리즘·편광프리즘으로 나눈다.
광학 편광 방해석 복굴절편광소자 프리즘 (편광소자에 대한 특히 글란-레이져프리즘,글란-테일러프리즘,글란-톰슨프리즘, 울러스턴프리즘 대해) 음파가 공기를 매질로 전파하는 경우 공기 입자들은 소리가 진행하는 방향의 앞뒤로 진동한다. 그러나 빛이 공기중에 전파될 땐 공기 입자들은 빛이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하게 진동한다. 빛의 경우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줄의 한 끝을 잡고 흔들면 줄의 진동에 의하여 파동이 다른 끝으로 전파된다. 이때 줄을 구성하는 입자는 줄의 진동 방향과 같이 진동한다. 흔들리는 줄에 의한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하게 진동한다. 그러므로 입자의 진동방향과 파의 진행방향은 서로 수직이 된다. 이와 같은 파를 우리는 횡파라고 한다. 음파와 같은 것을 종파라고 한다. 파의 진행방향과 입자의 진동방향에 따라서 파동을 횡파 또는 종파로 구분한다.
광학렌즈 대부분 원형을 사용하지만 직사각형 렌즈도 사용하며 원형이 아닌 렌즈를 사용하는 것은 대개 공간상의 제약이 있거나 무게를 줄이는 것이 특별히 중요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 원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광학성능의 측면 1. 렌즈의 가공상 오차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커집니다. 따라서 중심에 가까운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광학성능의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2. 선명한 상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것이 유리합니다. 3. 2번에 의해 더 넓은 면적에서 빛을 받아들이고, 1번의 이유로 렌즈의 중심부에 가까운 영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형의 렌즈가 가장 좋습니다.
- 기계적인 측면에서 1. 원형의 렌즈를 원형의 경통에 장착하는 것이 다른 형태의 렌즈를 장착하는 것에 비하여 장착오차가 적고, 장착하기도 쉽습니다. 2. 렌즈를 가공하는 측면에서 렌즈를 고정하고 공구를 회전하면서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때 원형의 형상을 만드는 것은 자연스러우나 직사각형의 경우 원형렌즈를 제작한 후 필요없는 부분을 절단합니다. 따라서 사각렌즈는 공정이 더 많아져 제작비가 올라갑니다.
|